Foto mit Geschichte/다큐 사진

옛집을 떠나서

행복나무 Glücksbaum 2008. 8. 22. 21:38

 

다른 시골에서 봄을 만났습니다
꿈은 이따금 봄바람을 따라서 아득한
옛터에 이릅니다
지팡이는 푸르고 푸른 풀빛에 묻혀서
그림자와 서로 따릅니다
길가에서 이름도 모르는 꽃을 보고서
행여 근심을 잊을까 하고 앉았습니다.
꽃송이에는 아침 이슬이 아직 마르지 아니한가 하였더니
아아 
나의 눈물이 떨어진 줄이야 꽃이 먼저 알았습니다


1919년 3월 1일 서울 종로 태화관에서 거행된 ‘민족대표 33인’의 독립선언문 낭독 장면
(기록화, 최대성 作, 독립기념관)

만해 한용운
독립운동가, 승려, 시인
만해는 기미 만세운동시에 33인의 대표로 참가 평생을 나라 독립에 바쳤으며,

박애주의와 인자, 사랑의 선학으로

조선 민족의 불심을 일깨운 종교지도자이자 독립운동가입니다.
 
광복절을 맞아 그의 시에서 유심을 읽습니다.

1945년 8월 15일은 우리나라가 해방된 날입니다,

일부에서는 8.15를 건국절로 하자고 하면서 민족사의 전통적 가치를 낮추어 훼손하려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건강하고 건실한 가치관을 지닌 지성들이 이를 지켜보고 있습니다...

다시는 나라 빼았기는 날이 있어서는 안됩니다.


 

일제에 강탈당한 조선 반도를 무력으로 진공, 본토 수복을 목표로 창설한

대한민국 광복군 총사령부 창설식, 여자 광복군 지휘관도 보인다.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

     


     


     

     

     

    임형주 노래, 1920년대 구 대한제국의 애국가  

     

'Foto mit Geschichte > 다큐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페이스 셔틀  (0) 2008.08.24
일제강점기 조선  (0) 2008.08.24
제5회 한일 연합수련회  (0) 2008.08.21
전쟁  (0) 2008.08.15
뻥튀기  (0) 2008.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