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Di/씨앗 글 흩날려 (Quelle)

“일본이 저지른 ‘이주인 학살자 추모 100년 기억’ 선언문”

행복나무 Glücksbaum 2023. 9. 5. 14:51

일본 관동대지진 조선(한국)인・중국인 학살 희생자 100년 그리스도인 추도집회 선언문

<집회의 목적>
  <관동대지진 조선(한국)인・중국인 학살 희생자 100년>을 맞이함에 있어서, 우리는, 다양한 국적, 민족, 문화, 언어를 가지면서, 함께 그리스도를 섬기고 하늘에 국적을 가진 주님의 백성으로서 100년 전의 관동대지진에서 6000명 이상의 조선인・중국인이 학살당한 사실을 마주하고, 지금의 우리의 본연의 자세를 묻는 무거운 과제를 함께 담당하기 위해 모였습니다.

<학살의 경위 = 국가 책임/민중책임1>
역사의 검증에서 밝혀지고 있는 것은, 학살의 근원이 되었던 유언비어는 정부・군・경찰 주도에 의해 퍼진 것입니다. 많은 시민들이 사실 무근의 유언의 발신지가 경찰이었다는 것을 증언하고 있습니다. 또한 내무성 최고 책임자들은 자연 재해로는 하지않는 계엄령 선포의 검토를 지진 재해 발생 당일 오후에 시작하여 추밀원의 자문을 거치지도 않고 다음날 2일 정오에 천황의 이름으로 허가를 받아 선포했습니다. 계엄령이란 군에 전권을 맡기는 비상조치이며 ‘토벌'해야 할 폭동이 일어나는 것을 전제로 한 것입니다. 다음 날 3일에는 <불령 조선인(不逞鮮人) 폭동>이라는 사실 무근의 유언비어가 공적인 전령으로 내무성 경보국장 이름으로 후나바시(船橋) 해군 송신소에서 전국 지방장관에게 발신되었으며, 그 결과 조선인 학살은 계엄군과 관헌뿐만 아니라 상부 지시로 조직된 자경단에 의해 관동 일원으로 확대되었습니다.

<학살 은폐/보도 통제 경위 = 일본 국가 책임2>
또한 일본 정부는 6000명이 넘는 조선인 및 700명의 중국인에 대한 대학살 사실을 일관되게 은폐하고 학살 희생자의 시체 처리 증거를 숨기고 보도를 통제하는 등 책임을 회피하였습니다. 학살을 선동한 군과 경찰의 책임은 일절 묻지 않고, 학살 가해자로서 재판에 걸린 자경단원도 다음해 1월의 황태자의 결혼에 특별 은사로 전원이 무죄 석방되었으며 학살의 죄는 누구 한 사람 심판 없이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학살의 역사 배경>
조선(한국)인에 대한 학살은 관동대지진 때 시작된 것이 아닙니다. 1894년(청일전쟁) 이후 대일본제국의 조선(한국) 식민지화에 대해 독립을 요구하는 조선민중의 저항운동을 ‘조선폭도’라 하여 ‘토벌'한 것의 연장선상에 있습니다. 조선총독부가 1919년 3・1독립운동을 ‘불령 조선인(不逞鮮人) 대폭동’으로 철저히 탄압했을 때의 그 적개심이 마찬가지로 일본사회에 퍼졌습니다. 「불령 조선인(不逞鮮人)」이라는 말이 요즘부터 사용되어, 보도를 통해 조선인에 대한 적의・멸시・공포심이 가득한 의식이 일본 사회에 퍼져, 관동 대지진 조선인 학살의 기초가 되는 상황이 그 전사(前史)로부터 준비되어 왔습니다. 조선(한국)인 학살은 식민지 지배에 의해 오랫동안 일본 사회에 양성된 적의와 편견에 의한 귀결이었습니다.

<민중 책임/교회 책임(방관・침묵)>
학살을 자행하고 학살의 만행을 침묵으로 용인한 일본 국민과 함께 일본 교회에도 책임을 물어야 합니다. 학살에 대한 일본 교회의 태도는 일관되게 방관적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지진 다음날 우에무라 마사히사(植村正久)의 설교 '신(神)의 업적을 나타내기 위하여'에서는 학살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았고, 우치무라 간조(内村鑑三)는 일기에 군대와 야경대에 대한 감사와 존경을 적기도 했습니다. 요시노 사쿠조(吉野作造)의 「조선인 학살사건에 대하여」(『중앙공론』1923년 11월호)와 같은 해에 쓰여진 카시와기 요시엔(柏木義円)의 『上毛教界月報』등에서 학살의 끔찍한 죄악과 회개를 촉구하는 글들이 예외적으로 나왔지만, 이 목소리는 당시 기독교회에 확산되지 못했습니다.  
이러한 일본 기독교인들의 무관심은 재일본 동경조선YMCA가 서울중앙YMCA와 협력하여 학살의 실태를 조사하고 피해자 지원에 힘쓰려고 했던 점과는 비교가 안되는 냉담한 것이었습니다.
일본 교회가 학살의 아픔을 함께 짊어지지도 않고 100년 동안 침묵을 지킨 것은 학살의 방관자이자 가담자로서 하느님 앞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 사실을 알려고 하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은 충분하지 않습니다. 보다 정확한 조사와 일본의 국가적 책임, 민중적 책임을 묻고, 스스로 내재된 혐오와 싸우고 극복하는 노력을 우리는 계속해야 합니다.

<국가/동경도의 역사 책임 불문의 문제>
동경 도지사가 관동 대지진 조선인 희생자 추도식전에 송부해 온 ‘추도사’를, 코이케 유리코(小池百合子) 도지사가 2017년 이후 송부를 그만둔 것처럼, 역사를 망각하고 책임이 없는 것으로 해버리는 자세는 변하지 않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2003년에 학살에 대한 진상조사와 사과를 요구한 일본 변호사연합회의 권고를 계속 무시하고, 2023년의 통상국회에서도 현존하는 자료에 근거한 재 조사의 요청에 대해 “(기록을) 찾을 수 없다”, “추가 조사는 생각하고 있지 않다”라고 책임을 부정하고 있습니다.

<대학살의 역사(100년 전)-은폐・불문의 역사(100년간)-멈추지 않는 현대의 헤이트>
우리는 지금까지 학습 모임을 몇 차례 가지면서 관동대지진에 이르기까지 일본사회에 만연한 「불령 조선인(不逞鮮人)」이라는 ‘공적인 헤이트’가 ‘민중의 헤이트’로 비약 확대시키면서 마지막으로 대학살로 이어지게 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국가와 사회가 과거 역사의 잘못에 대하여 정직하게 마주하지 못하고, 게다가 그것을 은폐하고 책임을 불문에 부쳐버리는 것을 계속함으로써 우리는 사람으로서 얼마나 귀중한 것을 상실했는지 생각하게 되고 또 오늘의 재일 코리안에 대한 멈추지 않는 헤이트 클라임(혐오 범죄)과 재일 외국인 이주민에 대한 차별이 그러한 역사의 결과로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대학살 희생자에 대한 추도의 신학과 교회의 선교 과제>
오늘날 일본 사회에서도 한국에 대한 편견이 퍼지고, 중국을 적대시하는 현상이 넘치면서 100년 전과 변함없이 헤이트 클라임(혐오 범죄)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부활의 주님께 부름받아 ‘이 땅의 소금, 세상의 빛’으로서 쓰임받는 우리 한사람 한사람은 주님의 십자가 앞으로 돌아와서 관동 대학살의 역사에 마주하면서 추도의 사역을 계승해 갑니다. 그리고 지금 이 전쟁에 대한 불안이 고조되는 시대에, 적의와 차별을 낳아내는 폭력에 침묵하지 않으며, 참된 화해와 평화를 이끄시는 주님을 따라 ‘지극히 작은 자’(마태 25:40)의 생명과 함께 살아가는 선교의 길을 걸어갑니다. 이러한 세상에 보냄 받은 교회, 그리스도인으로서 기억의 계승을 위해 계속 노력합니다. 현실에 대한 묵인이라는 스스로의 죄를 우리는 회개하면서, 민족, 문화, 언어의 차이를 넘어 함께 살아가는 세계를 만들어 가기 위하여 소수자를 배제하는 사회의 본질과 싸우고 있습니다.


2023년9월3일
관동대지진 조선인・중국인 학살 100년 그리스도인 추도집회 실행위원회


[03. September 2023]


#Hassklettern 헤이트 클라임(혐오 범죄)
#ethnische Diskriminierung (타민족 인종차별)
#Völkermord (대량 학살/집단 학살)
#Massenvernichtungs (대량 살상)

간토 대지진, 일본. 1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