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5년 경성의 도시 기반 설비]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인의 북촌, 일본인의 남촌으로 불렸다.
선행연구를 보니 도로 정비를 비롯한 하수 설비 등은 일본일 거주지인 남촌 위주로 공사를 진행했다고 글로만 적고 있다.
서울 지도(1935년경) :
![](https://blog.kakaocdn.net/dn/dCCL64/btsLZLvsHA8/oiWHBwMPZuU8KGIUHnsc20/img.jpg)
첨부된 지도는 일제강점기 와사(瓦斯, 전기, 가스) 설비지도이다. 북촌은 전철이 다니는 효자동, 안국동, 경성제국대학이 있는 대학병원, 종로통의 큰 도로 위주로 설비를 했다. 남산 아래 남촌에는 아주 그냥 세세한 도로까지 와사가 보급되어 있다.
왜정시대 이거뜨리.., 정확하게 차별했네.
.
.
“미스터 선싸인”에서
제물포 역은 어디에 있었더라?
숭례문! 아니지,
남대문이라 바꿨던가?
그럼, 경성 역은
어디쯤 있더라?
[23. Januar 2024]
'Eine Welt > 한국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민주항쟁 진원지‘서울, 한국.1987 (0) | 2024.12.01 |
---|---|
‘진주성의 역사 의미를 지워 버린 개발사’, 진주. 2024 (0) | 2024.10.24 |
독립운동가 이동휘 선생 [01] (0) | 2024.10.03 |
일제에 항거한 독립운동가, 이회영 선생 [01] (0) | 2024.09.18 |
울릉도, 독도 주변, 동해,한국 (0) | 2024.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