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Welt/미얀마 이야기 41

양곤, Myanmar. 2004

나머지는 여러 소수민족으로 나뉘어 있어,이 민족구성의 복잡성이 미얀마 정치의 중요 문제의 하나.______..소수민족으로는 예로부터 미얀마에서 거주했던 종족과 최근의 1세기 동안 미얀마로 유입한 종족이 있다. 전자에는 샨족(약 190만)·카렌족(약 220만)·카친족(약 110만)·친족(약 60만)·몬족 등이 있는데, 각기 고유의 언어를 갖고 있다. 샨족은 샨 고원에, 카렌족은 타이와의 국경 산악지대와 이라와디 강 삼각주 지역에, 카친족은 북쪽 고지에, 친족은 인도와의 국경 방면에 살고 있다. 몬족은 중세까지 이라와디·시탕 두강의 하류 유역을 지배하였던 민족으로 페구 등의 성시(城市)를 중심으로 세력을 떨쳤으나 중세 이후에 남하해 온 버마족과의 싸움에서 패배하고 인구도 감소하여, 지금은 물메인 지방의 소수..

미얀마 정황

역사적 정황 미얀마 사람들은 정치, 종족, 지역 등을 상관치 않고 내전과 군사정권의 억압으로 30년 이상을 고난당하고 있다. 잔혹한 군사정권치하 수십년이 지난 후 전국적인 민주화운동은 1988년 미얀마전국에서 수천명의 시위군중을 학살한 사건으로 그 절정에 이르렀다. 군사독재는 강력한 국민적 압력에 무릎을 꿇고 1990년에 총선을 실시하였다. 전국민주동맹당(The National Lague of Democracy Party:NLD)이 전 투표자의 80%이상을 획득하였으나 군사정권은 선거결과를 무시하고 많은 시민을 투옥하는 것으로 대응하였다. 1989년부터 NLD 지도자 아웅산 수지(AungSan Su Kyi)는 가택 연금된 후 6년 동안 연금상태에 있었는데 그 동안에 그녀는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선출된 ..

미얀마 국민의 삶, Myanmar.

미얀마는 목재, 광물, 석유 등과 같은 천연자원을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다. 전체 땅덩어리의 30%가 상업용 삼림이고 20%이상이 경작할 수 있는 토지이다. 이런 광대한 천연자원에도 미얀마는 오늘날 세계 최빈국 가운데 하나이다. 버마는 아시아 많은 지역을 먹여 살릴 수 있을만한 쌀 생산력을 지니고 있지만 미얀마 국민 대다수가 현재 심각한 굶주림으로 시달리고 있다. 오늘날 외국 회사들은 이 천연자원을 채취하여 빠른 이익을 얻으려고 미얀마에 달려들어 오고 있다. 이러한 투자가 도대체 일반국민들을 이롭게 하는지에 대한 입증자료는 아무것도 없다. 사실 쌀 수출은 농촌, 도시 양쪽의 주민들이 먹을 쌀을 더욱더 부족하게 하고 있다. 영양실조는 쌀이 풍부한 이 나라에서 점점 더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정부 통계들은 전..

미얀마 민주화 운동 재현, Myanmar

미얀마 사태가 28일로 11일째를 맞는다. 미얀마의 이번 반정부 시위는 1988년 민주화 운동 이후 최대 규모이다. 미얀마 군사정부가 강제진압에 나서면서 지금까지 일본인 사진기자 1명을 포함해 적어도 9명이 목숨을 잃었다. 당국의 무자비한 강제진압에도 불구하고 민주화 열기는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 이번 사태의 원인과 배경 등을 AP 통신, 영국 신문 가디언 등이 정리한 문답으로 알아본다. -- 이번 시위 사태를 촉발시킨 원인은 ▲ 이번 시위는 미얀마 군사정부의 갑작스런 연료가격 인상이 직접적인 발단이 됐다. 이 여파로 대중 교통수단 운임도 급등했다. 그러나 이번 사태의 이면에는 억압적인 군사정부에 대한 국민의 오랜 불만이 자리잡고 있다. 연료가격 인상이 국민의 가슴에 불을 지른 셈이다. -- 시위대가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