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älbs/함께 펼쳐보는 세계 76

이란 여성들은 포기한 적이 없다.: “여성, 생명, 자유”

1979년 이란 이슬람혁명은 팔레비 국왕의 독재에 맞선 성직자, 지식인, 상인 그리고 수백만 여성들의 광범위한 참여로 성공했다. 하지만 곧 강경보수 성직자들이 권력을 장악했다. 성직자들이 통치하는 이슬람공화국 정부는 모든 여성이 히잡을 쓰도록 명령했고 1983년 이를 법으로 강제하고 처벌하기 시작했다. ‘도덕적인 복장으로 여성들의 존엄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히잡은 여성, 시민의 일상을 통제하는 정치적 도구가 되었다. 여성이 공공장소에서 노래 부르거나 춤을 추는 것, 자전거나 오토바이를 타는 것도 금지되었다. 이란 여성은 대학졸업자의 65%일 정도로 교육열이 높지만, 취업과 일상 곳곳에서 차별의 벽에 부딪힌다. 정권은 필요에 따라 여성에 대한 통제 수위를 조절했다. 2021년 대선에서 강경보수파 성직자 ..

세계지배하는 미국.., ‘패권주의’

세계지배라는 미국의 패권을 받쳐주는 데는 3개의 기둥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첫째는 세계 국방비 총액의 40%를 지출하는 강력한 물리적 군사력 및 전세계 800여 군데 배치되어 있는 해외주둔 미군기지이며, 둘째는 기축통화로서 달러의 위상과 금융네트워크, 그리고 첨단의 ICT 기술이 결합된 경제력이다. 셋째는 미국의 통제하에 있는 국제기구들과 미디어가 만들어 내는 미국 중심의 가치개념으로, 형식적인 절차로서 서구식 민주주의와 자본의 탐욕을 방치하는 개인적 자유주의를 들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 3개의 기둥 모두 심각한 문제점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 아시아 지역에 오래전부터 뿌리를 내리고 깊은 이해를 지니고 있는 투자조직 맥킨지의 연구소 역시 최근 보고서를 통해 아시아 시대의 도래를 전..

붕괴 위기에 처한 미국 자유민주주의. USA

가치동맹이라고? 붕괴 위기에 처한 미국 자유민주주의. Xin Ping. 중국의 국제문제 논평가로 Xinhua News Agency, CGTN, Global Times, China Daily. 등에 활발히 기고활동을 하고 있다 출처: 글로벌타임즈, 2022년 9월30일자 민주주의를 제대로 연구하는 전문가들은 미국의 정치제도를 흔쾌히 민주주의라고 동의하지 않는다. 실제로 전세계에 형식적이나마 민주주의를 채택한 것으로 분류되는 130여 개의 국가군들 중에 미국정치제도에 대한 평점은 대충 절반수준인 70위권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개별 주 단위의 선거인단 제도와 더불어 대한민국과 마찬가지로 승자독식의 양당 제도이다. 대의제 자체가 ‘선거과두제’라고 혹독하게 재평가를 받는 현재의 시점에서, 승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