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구석구석 살펴보기/기행 이야기

통곡의 벽, 예루살렘

행복나무 Glücksbaum 2000. 3. 5. 19:56

 
 
 

예루살렘의 성전을 받들고 있는 서쪽 축대 일부를 '통곡의 벽"이라고 부른다.

로마 군에 의해 파괴되고 남은 부분의 일부가 탄식의 벽이다.

벽의 높이가 약 21m로서 아래서부터 일곱째 단까지가 제 2성전 시대의 것이고 그 위의 4째 단이 로마시대, 그 위가 마므룩 시대의 돌이다.

지하에는 제 2성전 시대의 것이 17단 더 묻혀 있다.(기원전 587년 성전 파괴, 기원전 514년 재건, 기원전 70년 파괴-아빕월 9일) 성전이 파괴되자 유대인은 이곳에 와서 기도하게 되었고

특히 성전 파괴일 아빕 월 9일(7-8월쯤)에는 많은 유대인이 이곳에 모여, 메시아의 강림과 성전재건을 위해 단식기도를 한다.

성벽 돌 사이에 끼어 있는 것은 기도하러 온 사람들의 소원을 기록한 종이이다.

 

예루살렘은 70년 로마장군 티투스에 의해 점령되고 유대민족은 뿔뿔이 흩어지기 시작하였다.

132년 시메온 바르 코흐바의 봉기도 실패로 끝난 후 135년 로마황제 하드리아누스(Hadrianus 제위 117-138년)에 의해 이스라엘에서 추방 당하므로서 디아스포라가 되었다.

이들은 예레미아 애가 서를 읽고 통곡을 한다.(롬 9:- 12:) 자연의 조화는 오묘하게도 밤이 되면 이 돌 벽에 이슬이 맺히게 되고 벽에서 자라는 '히소프'라는 풀에 떨어져 장벽이 눈물을 흘리는 듯이 보이게 된다.

이것은 눈물을 흘리며 기도하는 유대인의 모습처럼 여겨지면서 언제부터인가 이 장벽의 이름이 '탄식의 벽', '통곡의 벽'으로 불려졌고 기도하는 제단이 되어져 버렸다.

기도는 꼭 동쪽의 성전을 바라보며 기도하고, 남자는 '키파'라는 모자를 써야만 기도하러 들어갈 수 있다. 단체는 꼭 9명이 되어야 공중기도를 할 수 있다.(증인도 9명)

세 교회에서 모인 우리 순례 단원들은 성벽의 돌 틈에 각자 준비한 기도문을 끼워 넣고

뜨겁게 주님의 몸된 교회와 자기 자신의 가족과 사회,

한반도의 분단을 극복하고 화해하는 통일된 조국을 꿈에 그리며

쫓기는 일정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뜨겁게, 뜨겁게,

간절히--- ,

그리고 목메어 눈물을 흘리며

기도 드렸다.

 
 

 

 

 


백파이프 연주곡-Amazing Grace

Amazing grace! how sweet the sound!
That saved a wretch like me! I once was lost,
but now am found Was blind, but now I see.
Thro' many dangers, toils, and snares
I have already come. 'Tis grace hath bro't me
safe thus far, And grace will lead me home.

나 같은 죄인 살리신 주 은혜 놀라와
잃었던 생명 찾았고 광명을 얻었네
큰 죄악에서 건지신 주 은혜 고마와
나 처음 믿은 그 시간 귀하고 귀하다
이제껏 내가 산것도 주님의 은혜라
또 나를 장차 본향에 인도해 주시리
거기서 우리 영원히 주님의 은혜로
해 처럼 밝게 살면서 주찬양 하리라

When we've been there ten thousand years,
Bright shining as the sun, We've no less days
to sing God's praise Than when we first beg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