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21, 22- 34
찬송 9, 488, 635장
아브라함이 에셀 나무를 심은 이유는 ‘하느님께서 나와 내 후손에게 이곳을 반드시 주실 것이라는
'믿음’ 때문 입니다.
“ 나무를 심으면 뭘 해? 내가 그 열매를 따 먹을 수 없을 텐데”
이런 회의론이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누가 무엇이라고 해도’,
아브라함은 나무를 심었습니다.
‘내가 지금 당장 그 열매를 따 먹지 못한다 해도 상관이 없습니다.’
믿음을 보증하는 에셀 나무를 정성껏 심었다는 말씀입니다.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며, 보이지 않은 것들의 증거’가 된다는 성서의 말씀은
신앙으로 살아온 사람의 경험을 우리에게 들려주는 진솔한 말씀입니다.
실로 믿음과 소망으로 심은 에셀 나무는
몇 백 년 후에 그의 후손이 쉴만한 그늘이 되고, 안식처가 되어 그들 소유의 땅이 되었습니다.
아브라함의 믿음대로 ‘브엘세바’는 아브라함과 그 자손들이 대대로 발을 붙이고 살아갈
약속의 땅이 되었습니다.
갈라디아서 6, 7을 보면, ‘사람이 무엇을 심던지 그대로 거둔다.’고 했습니다.
아브라함은 희망을 심어 원하는 희망대로
그 열매를 거두었고
또한, 그 믿음대로 약속의 땅을
유업으로 받았습니다.
여러분,
지금 무엇을 심고 계시며, 또한 어떤 결실을 기대하고 있는 것입니까?
여러분에게 간절히 희망하는 것은,
“믿음의 씨를 뿌려 원대한 하느님의 약속을 축복으로 받으십시오.”
이 희망이, 여러분에게 있다면 여러분은 분명 구원의 길로 초청 받은 것입니다.
[11.September 2010]
![](https://blog.kakaocdn.net/dn/bqx01U/btr3dEta0Bl/ML3wNUrGzvAKiRi9j8vzK0/img.jpg)
'Ba-de-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화는 바로 여기서 시작합니다.’ (0) | 2023.08.24 |
---|---|
‘하느님의 재창조 손길이 되십시오.’ (0) | 2023.05.15 |
‘등경으로서 공교회’ (0) | 2010.10.29 |
“한국교회됨의 회복을 위한 신학 선언” . 2009 (0) | 2009.06.24 |
사람들이 살아가는게 “새옹지마” (0) | 2009.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