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ine Welt/한국 이야기

동학 농민혁명운동

행복나무 Glücksbaum 2001. 11. 23. 09:59



8. 동학농민운동

 

8.1 갈등의 시작

 

지금으로부터 꼭 102년 전 1894년 전라도를 중심으로 일어난 동학 농민 운동은 한국 역사에서 가장 큰 농민들의 운동이었다. 당시 농민들은 한국사회에서 가장 힘없는 계층이었지만, 스스로의 힘을 모아 부패한 관리들을 내쫓고 위기에 처한 나라를 구하기 위해 일어섰다. 지금도 이 동학 농민 운동은 한국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혁명 운동 중의 하나로 꼽힌다.

이 동학 농민 운동은 지난 1524~1526년 사이에 독일 남부 지방에서 일어났던 농민 전쟁과 비슷한 점이 많다. 예를 들면

△가장 낮은 계층인 농민들이 중심 세력이었고

△귀족들의 횡포가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으며

△종교의 힘을 빌어 운동을 계속해 나갔다는 것 등이 비슷한 점이었다.


왜 이렇게 농민들의 운동이 종교의 힘을 빌리게 되었을까?

예를 들어 노동자들 같으면 평소 큰 공장에서 함께 일하며 노동조합과 같은 조직을 중심으로 자기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겠지만, 농민들은 농토에 묶여서 여기저기 떨어져 살고 있었기 때문에 광범위한 조직을 만들기 어려웠다. 따라서 해결해야 할 억울한 일이 생길 경우 종교 조직을 빌어서 자기들의 뜻을 표현하는 것은 아주 자연스런 일이었다.

한국의 동학 농민 운동도 당시 농민들(백성의 90% 이상이 농민이었다) 사이에 널리 퍼져나가고 있던 동학이라는 종교를 중심으로 일어났다.

독일에서는 기독교가 했던 역할을 한국에서는 동학이 맡았던 것이다.

 

8.2 동학이란 무엇인가

 

1860년 최제우라는 사람이 동학이라는 민족 종교를 만들었다.

당시 천주교는 서양에서 들어온 종교라는 뜻으로 서학이라고 불렸기 때문에 최제우는 우리의 도를 밝힌다는 뜻으로 자신의 종교를 동학이라고 불렀다.

이 동학은 나중에 이름을 천도교로 바꾸었고 지금도 한국의 중요한 종교 가운데 하나로 꼽히고 있다.

 

8.3 동학 농민 운동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1892년 전라북도 고부라는 곳의 군수 조병갑은 농민들의 어려운 사정은 전혀 생각하지 않고 모든 수단을 다 동원해 농민들을 괴롭혔다.

그는 자기 아버지의 비각을 세운다는 명목으로 1,000여 냥을 강제로 거둬들인 뒤 착복했다. 또 농민들을 동원해 저수지에 새로운 둑을 쌓은 뒤 농민들에게 물세를 강제로 징수했다.

이러한 조병갑의 횡포에 대해 농민들은 여러 차례 진정을 했으나 아무 소용도 없었다.

그래서 1894년 1월 11일 동학교도인 전봉준의 지도 아래 고부의 농민들이 관아(관청)를 습격, 무기를 빼앗고 부당하게 거둬들인 쌀(세금)을 농민들에게 다시 나눠주고 새로 쌓은 저수지 둑을 무너뜨렸다.

이런 소식을 들은 정부는 동학교도들을 체포해 죽이고 그들의 집에 불을 지르는 등 탄압하기 시작했다.

그러자 전봉준은 다시 농민들을 불러모아 정부에 대항했다. 이때 농민군의 수는 4천 명 이상이었다.

농민군은 3월 25일 행동 강령을 발표했다. 이 행동강령은 나라 안으로는 잘못된 신분제도를 없애고 나라 밖으로는 침략자들을 내쫓는다는 내용이었다.

이렇게 해서 본격적으로 농민 전쟁이 시작되었다. 4월 7일 농민군은 유명한 황토현 전투에서 전라도 관군을 무찌르고, 4월 23일에는 서울에서 내려보낸 군사까지 장성에서 물리쳤다. 그리고 4월 28일 전라도의 수도인 전주를 점령했다.

이렇게 서울과 지방의 정부군만으로 농민군을 물리치기 어렵다는 것을 깨달은 정부는 중국(청나라)에 도움을 요청했고, 한국에 진출할 구실을 찾고 있던 일본도 한국 내에 있는 일본인들을 전쟁에서 보호한다는 구실로 자기들의 군대를 파견했다.

이렇게 해서 중국과 일본의 군대들이 우리 나라에 들어오고 우리 나라가 외국군대들의 싸움터로 변할 가능성이 높아지자 농민군은 서울 진격 계획을 취소했다. 외국 군대가 우리 나라에 있어야 할 이유가 없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한 것이었다. 그리고 5월 7일에는 외국 군대의 철수와 정치 개혁을 약속 받고 전주성을 정부군에 내주었다.

그러나 농민군은 완전히 해산하지 않고 무기를 그대로 갖고 각 지방에 돌아가 「집강소」라는 민간 행정 기구를 만들어 정치개혁을 주도했다.

집강소에서 실시된 개혁의 내용은 예컨대

△탐관오리(타락한 관리)의 처벌 △노비 문서의 소각

△과부의 재혼 허가

△법에 없는 각종 세금의 폐지

△토지의 균등한 분배 △일본 첩자들의 처벌 등이었다.

이 같은 내용은 아주 혁명적인 것이었다.


여기까지가 동학 농민 운동의 첫 번째 싸움(1894년 3월 25일~5월 7일)이었다.

 

8.4 두 번째 봉기

 

호시탐탐 우리 나라를 집어삼킬 기회를 엿보던 일본은 우리 나라에서 철수하지 않았다. 그리고 6월 말 청일 전쟁을 일으키고 한국에 압력을 넣어 정부를 완전히 친일파 사람들로 바꿔버렸다. 이 친일파 정부와 일본군은 9월 20일 각 지방에 흩어져 있던 농민군을 소탕하기로 결정했다.

그러자 전봉준 등 농민군 지도자들은 싸움에 다시 나서기 위해 군대를 다시 정비하고 첫 번째 싸움 때 보류했던 서울 진격을 이번에 다시 시도하기로 했다.

이렇게 해서 동학 농민 운동의 두 번째 싸움이 시작됐는데 10월 16일 서울 진격을 위해 충청도 논산에 집결한 농민군의 수는 10만 명이 넘었다.

농민군은 논산에서 서울로 가기 위해 공주를 거쳐야 했는데 정부군과 일본군은 신식 대포와 장총으로 무장하고 공주로 가는 길목의 우금치 라는 언덕에서 진을 치고 있었다. 이 우금치 언덕에서 1주일간 40~50회의 전투가 있었다. 아무리 농민군의 사기가 높아도 신식 무기를 당할 수는 없었다.

결국 농민군은 여기서 패하고 서울로 진출한다는 계획도 실패했다. 그 이후 12월 28일 전봉준도 체포되어 사형(목을 베는 처형)을 당했다.

 

   

8.5 그 이후

 

이렇게 동학 농민혁명운동 자체는 실패로 끝났다. 외국 세력들이 우리 나라를 식민지로 만들기 위해 침략해오자 이를 막기 위해 일어난 동학 농민 운동을 우리 정부는 오히려 외국군대를 끌어들여 진압한 것이다. 이것은 당시 조선 왕조의 무능력과 부패, 그리고 한계를 동시에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러나 농민군들은 의병 운동에 가담해 일본의 침략에 또 다시 저항했고 1910년 한일합방 뒤에는 또다시 3․1 운동 등 독립 운동의 중심 세력이 되었다.

따라서 동학 농민 운동은 우리 나라를 ‘안으로는 개혁하고 밖으로는 독립을 유지하려는’ 민중들의 자발적인 운동의 출발점이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전봉준 장군이 사형 당한 뒤 우리 나라의 농촌에서는 다음과 같은 민요가 100년 동안 불리고 있다. 이 노래는 농민들이 전봉준 장군을 생각하며 부른 노래다.

 

새야 새야 파랑새야 녹두 밭에 앉지 마라

녹두 꽃이 떨어지면 청포 장수 울고 간다

새야 새야 파랑새야 우리 논에 앉지 마라

새야 새야 파랑새야 우리 밭에 앉지 마라

아래 녘 새는 아래로 가고 윗녘 새는 위로 가고

우리 논에 앉지마라 우리 밭에 앉지 마라

우리 아버지 우리 어머니 손톱 발톱 다 닳는다

새야 새야 파랑새야 우리 밭에 앉지 마라

위여 위여 위여 위여

새야 새야 파랑새야 우리 논에 앉지 마라

새야 새야 파랑새야 전주 고부 녹두새야

윗 논에는 차나락 심고 아랫 논에 메나락 심어

울 오래비 장가갈 때 찰떡 치고 메떡 칠걸

위여 위여 파랑새야 위여 위여 파랑새야

위여 위여 위여 위여 위여 위여

새야 새야 파랑새야 우리 논에 앉지 마라

 

 

  

전봉준과 동학 혁명


농민들의 분노는 하늘을 찌를 듯하였다.

그들은 동학 접주 전봉준에게 몰려와 조병갑을 몰아내야 한다고 떠들었다.

전봉준은 여러 농민들을 둘러본 뒤 굳은 결의를 하고 말했다.

좋소, 우리 모두 나서서 조병갑을 몰아냅시다.”

전봉준은 당시 나이 40세로,

일찍이 그의 아버지 전창혁은 백성들이 일으킨 반란에 앞장을 섰다가 죽음을 당하였고,

그 스스로도 마음에 큰 뜻을 품고 억울하게 짓눌리는 백성들을 위해 큰일을 하리라고 벼르고 있었다.

그는 마을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훈장을 하면서 농민들의 존경을 받았으며 30세에 동학에 들어가 그 지방 접주로 있었다.

18894년 정월 10, 새벽닭이 울기를 기다려 고부 농민들은 만석보 남쪽에 있는 말목 장터로 모여들었다. 살을 에이는듯한 찬바람에 싸락눈까지 오는데,

머리에는 하연 수건, 손에는 몽둥이며, 대창 괭이 등을 든 농민들이 모여들었다.

전봉준을 앞세운 수백 명의 농민들은 고부읍을 향해 나갔다.

말목 장터에서 고부읍까지 20여리를 가는 동안 농민들의 수는 점점 늘어나 1천여 명이나 되었다.

그들의 성난 발걸음이 군청을 들이치자 관리들은 뿔뿔이 도망쳤다.

조병갑도 허둥지둥 뒷문을 빠져 달아났다.

    

 

, ‘이야기 한국사 중에서’, 풀빛

 



 

8. 동학 Bauernbewegung

 

8.1 Einleitung

 

Vor 102 Jahren, 1894, fand in 전라도 die 동학 Revolution statt, die größte Bauernrevolution in der koreanischen Geschichte. Die Bauern, damals schwächste soziale Schicht in Korea, erhoben sich gegen die Korruption unter Beamten und die Bedrohung Koreas von außen. Von allen Revolution, die in Korea stattgefunden haben, ist die 동학 Bauernbewegung eine der bedeutendsten.

Sie kann mit dem Bauernkampf, der 1525~1526 in Süddeutschland stattfand, verglichen werden. Auch hier spielten die Bauern eine zentrale Rolle, durch die Religion erhoben sie sich gegen die Ausbeutung durch den Adel.

Warum spielte die Religion bei der 동학 Bauernbewegung eine so wichtige Rolle? Während die Fabrikarbeiter ihren Forderungen mit Hilfe der Gewerkschaften Ausdruck verleihen konnten, war dies den Bauern nicht möglich. Die Art ihrer Arbeit bedingte, daß sie verstreut über großflächige Gebiete lebten, was die Gründung von Zusammenschlüßen erschwerte. Unter diesen Rahmenbedingungen, war es die gemeinsame 동학-Religion, die Zusammenhalt und Solidarität stiftete.

Sie verbreitete sich rasch unter den Bauern und übernahm in Korea die Rolle, die das Christentum in Deutschland spielte.

 

8.2 Was bedeutet 동학?

 

Die 동학 Religion geht zurück auf 최제우, der diese um 1860 begründete. Als Gegensatz zum damals bereits in Korea eingeführten Christentum, das unter dem Namen 서학 Westlehre benannt war, nannte er seine Religion 동학 Ostlehre.

Später fand eine Namensänderung statt, die 동학 Religion wurde als 천도교 „Weg zum Himmel‟ Religion bezeichnet. Die Religion ist bis heute unter diesem Namen bekannt und nimmt unter den Glaubensrichtungen Koreas einen wichtigen Platz ein.

 

8.3 Wie kam es zur 동학 Bauernbewegung?

 

1892 beutete 조병갑, Bürgermeister von 고부 in der Provinz 전라도, das Bauernvolk rücksichtslos aus. Er zog schweren Steuern ein, unter dem Vorwand, den Grabstein seines Vaters sanieren zu wollen, unterschlug die Summe jedoch. Außerdem befahl er den Bau eines Dammes und erhob später Steuern auf den Gebrauch des Wassers.

Mehrmals baten die Bauern um eine bessere Behandlung und Verbesserung ihrer Lage - ohne Erfolg.

Schließich griffen sie unter der Leitung 전봉준, einem Mitglied der 동학-Gemeinde die zuständige Behörde an, zogen die dort aufbewahrten Waffen ein und verteilten die vom Bürgermeister erhobene (Reis-)Steuer unter sich. Den von ihren unter Zwang errichteten Damm zerstörten sie.

Als die Regierung von den Geschehnissen erfuhr, nahm sie die 동학-Anhänger fest, exekutierte sie und setzte ihre Häuser in Brand. Sie begann, die 동학-Gemeinde systematisch zu unterdrücken. 전봉준 aber und seine Bauernarmee, die mittlerweile über 4.000 Mann stark war, setzten den Kampf fort.

Am 25. März erklärte die Bauernarmee die Grundlagen ihrer Aktivitäten. Die beiden Hauptziele waren die Abschaffung der Stände sowie der Vertreibung von ausländischen Angreifern. So begann ein ernsthaft geführter Kampf.

Am 7. April besiegte die Bauernarmee im berühmten 황토현-Kampf die Soldaten in 전라도, am 23. April auch die aus 서울. Ebenfalls am 28. April besetzten sie 전주, die Hauptstadt der Provinz 전라도.

Als die Regierung von den Vorkommnissen erfuhr, bat sie um Unterstützung von China. Unter dem Vorwand, die im Lande lebenden Japaner schützen zu müssen, schickte Japan auch Truppen nach Korea. ― In Wahrheit waren seine Ambitionen rein expansionistischer Natur. Auf diese Weise wurden sowohl chinesische als auch japanische Militäreinheiten nach Korea abgesandt.

Unter diesen Umständen nahm die Bauernarmee ihren Plan, in 서울 einzumarschieren, zurück. Am 7. Mai machte die Regierung nach Verhandlungen mit den Bauern das Zugeständnis, die chinesischen und japanischen Truppen abzuziehen und die Politik zu reformieren. Daraufhin gaben die Bauern das von ihren zuvor eroberte 전주-Schloß (Sitz der Provinzregierung) zurück.

Die Bauernarmee übernahm die Verwaltung der Provinz und leitete die angestrebte Reform der Politik. So ergaben sich folgende Änderungen : Genaue Untersuchung und strenge Bestrafung der Verfehlungen korrupter Beamter, Verbrennen der Leibeigenenregister, Erlaubnis der Wiederheirat für junge Witwen, Abschaffung aller nicht ausdrücklich zugelassenen Steuern und Abgaben, Gleichmäßige Verteilung des Bodens, Schwere Bestrafung aller Leute, die heimlich mit auswärtigen Banditen in Verbindung stehen. Alle diese Reformen waren für die damalige Zeit revolutionär.

Ihre Durchsetzung markiert das Ende des ersten Kampfes der 동학 Bauernbewegung (25. März 1894 ~ 7. Mai 1894).

 

8.4 Der zweite Kampf

 

Doch Japan zog entgegen der Vereinbarung seine Truppen nicht zurück. Ende Juni führten Japan und China Krieg gegeneinander in Korea. Japan sandte Leute, die auf seiner Seite waren, in die koreanische Regierung. So kam es, daß diese Regierung zusammen mit japanischen Truppen am 20. September, den Entschluß faßten, alle Bauernarmeen in den verschiedenen Provinzen zu vernichten. Doch 전봉준 vereinigte mit der Hilfe der Anführer der anderen Bauernarmeen alle Bauernarmeen und ging gegen 서울 vor. Dies war der Beginn des zweiten Kampfes der 동학 Bauernbewegung. Die Zahl der am 16. Oktober versammelten Bauern, die der Armee angehörten, betrug mehr als 100.000 Mann.

Die Bauernarmee mußte den 공주 überqueren. Regierungs- und japanische Truppen erwarteten sie auf dem 우금치-Hügel in 공주, bewaffnet mit Geschützen und Kanonen. Auf diesem Hügel gab es in einer Woche 40~50 Kämpfe.

Die Bauernarmee war den neuen Waffen unterlegen, wurde schließlich besiegt und konnte so nicht nach 서울 vordringen. 전봉준 wurde verhaftet und hingerichtet.

 

8.5 Fazit

 

Die 동학 Bauernbewegung war ein Mißerfolg. Sie wollte verhindern, daß auslädische Mächte das Land angriffen und es kolonisieren. Die Schwäche und Korruption der 조선-Dynastie war offenkundig.

Auch in der folgenden Zeit widersetzten sich die Bauern der japanischen Invasion. Sie spielten eine zentrale Rolle in der Unabhängigkeitsbewegung vom 1. März 1919, nach der Annexion von Korea und Japan.

Der 동학 Bauernbewegung kam große Bedeutung zu, da sie Korea zu reformieren und gleichzeitig die Unabhängigkeit des Landes zu bewahren versuchte.